logo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78] 강영환의 "소지도"
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78] 강영환의 "소지도"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소지도

 

강영환

 

두 여인이 한 집에 산다

사이에는 서로 새를 내어 파도가 높다

아기를 곁에 둔 젖이 불은 유방과

물기 빠진 유방이 오가는 새들에게

젖 먹으러 오라고 손짓한다

의자에 앉아있던 성미 급한 큰댁이

상반신을 구부려 바다에 빈 젖을 물린다

작은댁은 가늘게 떨리는 손안에서

오래 불은 젖몸살을 푼다

썰물로 빠져나가는 넘치는 젖

잡을 수 없다 바다는 늘 변덕이다

작은댁은 몸 낮추어

아침을 들추어 보이며

눈먼 파도 눈에 뒷물을 쏟아붓는다

빈 바다로 가라 먼, 부끄러움이 솟아

안개로 몸을 감춘 수평 밖으로

그 요분질 발치에 이르러 발끝으로 서서

가슴에 벅차오르는 수평선을 토하는

경계를 그어 보라, 내게 이른다

그렇지 않으면 돌로 굳어지리라

 

—『무명島에 기대어』(책펴냄열린시, 2025)

 

소지도 [ 이미지 : 류우강 기자]
소지도 [ 이미지 : 류우강 기자]

  [해설

 

   두 여인이 보는 바다

 

  소지도는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에 있다. 뾰족한 삼각형으로 생긴 무인도로 매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강영환 시인이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섬은 그 소지도가 아닌 것 같다. 이청준의 소설 「이어도」의 이어도가 실재하는 섬이라기보다는 설화적인 공간인 것처럼.

 

  두 여인이 한 집에 사는데 젊은 여인은 아기에게 젖을 수시로 먹이고 있다. 그런데 남편은 이 시에 나오지 않는다. 물기 빠진 유방을 가진 큰댁은 바다에 빈 젖을 물리니 해녀인가 보다. 그런데 그의 남편도 시에 나오지 않는다. 남자는 어디로 갔을까? 짐작하건대 바다에 나가 죽은 게 아닐까? 묘하게도 큰댁, 작은댁이 같은 집에 산다. 필요에 의해 같이 살지만 사이가 좋을 수 없다.

 

  이 시에는 성적 이미지가 속출한다. ‘요분질이 국어사전에는 성교할 때에, 여자가 남자에게 쾌감을 주려고 아랫도리를 요리조리 놀리는 행위.”라고 되어 있다. “그 요분질 발치에 이르러 발끝으로 서서/ 가슴에 벅차오르는 수평선을 토하는에 이르면 성적 이미지는 절정에 다다른다.

 

  이 시는 남자 없이 살아가는 두 여인의 여성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된다. 그 이유는 아마도 이 세상의 이치라는 것이 짝을 맞추는 것인데 이 집은 그렇지 못한 경우이기 때문이리라. 시인이 보기에 이런 가족 구성이 안쓰럽기 이를 데 없어서 이렇게 쓴 것이 아닐까. 몸이든 마음이든 돌로 굳어지면 안 되는데, 시인의 안쓰러워하는 마음이 이 시 구석구석에 담겨 있다.

 

  1977년에 등단한 강영환 시인의 이번 시집은 거의 대다수 섬을 소재로 한 것이다. 섬 순례라고 할까 섬 탐방이라고 할까 수많은 섬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 섬이 다 다르듯이 시도 창작방법론이 다 다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시집은 시인의 공력이 느껴지는 아주 훌륭한 시집이다.

 

  [강영환 시인]

 

  경상남도 산청에서 태어났다. 1977<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이후 1979년 《현대문학》으로 재등단했다. 1980<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조가 당선되었다. 시집 『칼잠』『불순한 일기 속에서 개나리가 피었다』『뒷강물』『푸른 짝사랑에 들다』『누구나 길을 잃는다』 등이 있고, 시조집 『북창을 열고』『남해』『모자 아래』, 지리산 연작시집 『불무장등』『벽소령』『그리운 치밭목』『불일폭포 가는 길』『다시 지리산을 간다』 등이 있다. 이주홍문학상, 부산작가상, 부산시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시와시학상편운상가톨릭문학상유심작품상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이승하시해설#강영환시인#하루에시한편을#코리아아트뉴스시해설#소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