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의 지평을 여는 문학상 탄생 — 제1회 창연문학상
창연출판사가 시의 언어를 새롭게 사유하고 실험하기 위한 『제1회 창연문학상』을 제정했다. 상금 1,000만 원이 수여되는 이번 문학상은 기존의 문학적 틀을 넘어, 아직 도착하지 않은 목소리를 향한 시적 탐색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이번 공모의 부제는 ‘시, 아직 도착하지 않은 목소리’. 이는 시가 단순한 감정의 표현을 넘어, 세계의 틈을 감지하고 존재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예술적 행위임을 다시 묻는 선언이다. 창연출판사는 “광활한 언어의 대륙을 건너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시인”이라며, 언어의 불확실성과 상상력의 경계를 넘는 작품을 발굴하고자 한다.
공모 부문은 미발표 신작 시 50편 이상이며, 기성·신인 구분 없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응모 마감은 2026년 5월 31일, 수상자는 6월 중 발표되며,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천만 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7월 18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운영위원회는 “창연문학상은 단순한 등단의 통로가 아니라, 언어와 존재,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새롭게 사유하는 시적 실험의 장이 될 것”이라며, “세상의 균열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과 감각의 빛을 포착하는 시인을 찾고자 한다”고 밝혔다.
수상작과 주요 응모작은 종합예술매거진 《아방가르드》 창간호에 특집으로 소개되며, 수상 시집은 별도로 출간된다. 창연문학상은 문학이 예술 전반과 교감하며 나아가는 ‘종합 예술 정신’을 복원하려는 시도로, 문학의 언어를 음악·회화·철학의 감각 속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임창연 창연출판사 대표는 “문학은 시대를 감지하는 가장 예민한 안테나입니다. 우리는 아직 도착하지 않은 목소리를 기다립니다. 그 목소리는 낯설고 불완전할 수 있지만, 바로 그 낯섦이 새로운 세계를 여는 열쇠가 됩니다”라며, “창연문학상은 시의 본질을 다시 묻고, 언어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시인들을 위한 열린 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르셀 뒤샹의 말처럼 “예술은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다시 사유하게 만드는 행위다.” 창연문학상은 바로 그 ‘다시 사유하게 만드는’ 시를 찾는다. 언어의 경계를 넘어, 아직 도착하지 않은 목소리를 기다리는 이 문학상은 우리 시대 예술정신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