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270] 양애경의 "그리운 당신"

이승하 시인
입력

그리운 당신

 

양애경

 

지금 생각해 보면

샴푸로 긴 머리를 감기만 해도

온몸에서 꽃내음이 나던

그때

당신과 잘 걸

 

그랬으면

나의 제일 아름다웠던 몸과

당신의 제일 아름다웠던 몸이

만났던 기억이 몸에 남았을 걸

 

왜 그랬을까

결혼할 사람이 아니면 손도 잡으면 안 된다고

결혼

사람 일이 어찌 될 줄 알고

헤어지는 게 꼭 마음이 없어서가 아닌데

 

나란히 함께 걸었던 순간이라든지

나란히 함께 카페에 앉았던 순간에

살그마니 손 안에 당신 손을 담았던

기억이 남았으면 좋았을 걸

 

이제 할머니가 되어

소년이었던 당신을 그리워하네

 

그때 우리 둘의 몸에도

서로를 남길 걸 그랬어

 

—『엄마 손을 잡고 그 골목에 서 있네』(걷는사람, 2025)  

그리운 당신 _ 양애경 시인 [이미지: 류우강 기자]

  [해설

  

  사랑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시집을 받고 바로 다 읽었습니다. ‘엄마를 먼 세상으로 보낸 뒤의 아픔이 진하게 배어 있는 시편들이 많았습니다. 저도 어머니 장례식 때의 일들이 떠올라 고개를 주억거리기도 했고, 한숨을 내쉬기도 했고, 시집을 수시로 덮고 생각에 잠기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읽고 또 읽은 시는 「그리운 당신」이었습니다. 이 시를 읽으면서 제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던 소설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과 로버트 제임스 월러의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였습니다. 이 소설에서는 딱 한 번만이었지만 몸에 남은사랑이었는데 그대의 시에서는 단 한 번도이뤄지지 않았습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옛말이 있는데 몇 번이나 강산이 변한 그 까마득한 옛날 일을 그대는 회상하고 있습니다. 이뤄질 수도 있었는데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그 젊은 날의 나의 제일 아름다웠던 몸과/ 당신의 제일 아름다웠던 몸이 만났던 기억을 두 사람은 갖지 못한 것입니다. 세월이 흘러 그대는(시적 화자라고 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어느덧 할머니가 되어 소년이었던 당신을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아아, 50년이 흘러도 잊히지 않는, 잊을 수 없는 그리운 당신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상상 속의 소년은 아니겠지요. “그때 우리 둘의 몸에도/ 서로를 남길 걸 그랬어라고 지금 그대는 애통해하고 있습니다. 왜 그랬어요! 만리장성을 그 어느 하룻밤에 쌓았어야지 뭐한 겁니까. 안타까워 발을 구릅니다.

 

  (고백. 그대의 등단작을 제가 좋아하여 학생들에게 거의 매학기 복사해 나눠주곤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뵌 적이 없었으니 이 또한 신기한 일입니다.)

 

  [양애경 시인]

 

  1982<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불이 있는 몇 개의 풍경』『사랑의 예감』『바닥이 나를 받아주네』『내가 암늑대라면』『맛을 보다』『읽었구나!』를 냈으며 김종철문학상, 풀꽃문학상, 애지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시힘, 화요문학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윤동주-청춘의 별을 헤다』『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 시와시학상, 편운상, 가톨릭문학상, 유심작품상, 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첫사랑시#이승하시해설#양애경시인#코리아아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