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임의 시조 읽기 27】 이나영의 "숨의 파동"

숨의 파동
이나영
작고 둥근 존재 하나
내 안에서 숨을 쉰다
무게보다 더 따뜻한
너라는 생의 기척
보이지 않는 너에게
마음을 먼저 배운다
기다림도 사랑이라
나는 이미 너였다
나를 깊게 만드는 건
하나 아닌 둘의 시간
작지만 분명한 물결
너와 함께 나도 자란다
《나래시조》 (2025.여름호)
아직 세상에 오지 않은 존재가 있다. 이름도 얼굴도 모르지만, 어느새 엄마 뱃속에 단단하게 뿌리를 내려있다.
처음엔 작은 생명의 징후였을 것이다. 손톱만 한 점이 하루, 이틀, 일주일, 한 달 그러다 작은 심장 소리가 들렸을 때 실감 했을 것이다. 누군가의 세계가 된다는 것. 그 순간부터 혼자가 아니다. 숨을 쉬는 것도, 밥을 먹는 것도 잠을 자는 것도.
몸이 무거워질수록 기다림의 시간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배워가는 시간이다. 마음이 따뜻해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빛이 부드러워진다. 그것은 사랑의 또 다른 이름이다. 보이지 않는 존재를 위해 말을 걸고, 손으로 어루만지며 안부를 묻는 순간들, 시인은 그렇게 엄마가 되어간다.
어떤 날은 문득 두렵다. 잘 크고 있을까. 내게 와줘서 괜찮은 걸까. 좋은 엄마가 될 수 있을까. 아이는 자신의 존재를 미세한 움직임으로 말한다. 그 작고 따뜻한 신호는 삶의 방향을 바꿔 간다.
「숨의 파동」은 단지 생리적인 호흡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엄마와 아이 사이에 흐르는 보이지 않는 울림이며, 인사를 주고받는 삶의 가장 순수한 방식이다. 태어나기 전부터 이어지는 이 인연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울고, 웃고, 걸음을 떼고 말을 배우며 살아가는 모든 순간을 함께 할 것이다.
“나는 이미 너였다”
아이야, 너는 작고 둥근 숨결로 머물지만 돋는 해와 지는 해를 우리 함께 바라보면서 가보자.

서귀포 강정에서 태어나 2022년 고산문학대상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시집 『시간은 한 생을 벗고도 오므린 꽃잎 같다』
[편집자주: "강영임의 시조 읽기"는 매주 수요일에 게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