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이벤트
전시

[전시 소식] 서로의 작품에 질문하고, 그림으로 답하다 — 이색적인 ‘화답 전시’ 열린다

류우강
입력
수정
9월 20일 ~ 10월 19일, 아르떼 숲 묻고 답하다: 외침과 메아리” — 박야일 × 유진숙, 예술로 나눈 화두와 밥


두 작가가 서로의 작품을 바라보며 질문을 읽어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자신의 작품으로 풀어내는 독특한 형식의 전시가 열린다. 

아르떼숲 기획전이 오는 2025년 9월 20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서울 아르떼숲에서 열린다.

이 전시는 단순한 협업을 넘어, 예술로 대화하고 사유를 교차시키는 이 전시는 ‘묻고 답하다: 외침과 메아리’라는 제목 아래 박야일과 유진숙 두 작가의 깊은 예술적 성찰을 담아낸다.
 


박야일과 유진숙, 두 작가는 서로의 작품 속에서 자신이 떠안을 화두를 선택하고, 이에 대해 자신의 작품으로 응답하는 방식으로 대화를 이어간다. 전시 제목은 “묻고 답하다: 외침과 메아리”, 부제는 “화두와 밥”이다.
 

전시의 핵심: “묻는 작품”과 “응답하는 작품”

두 작가는 서로의 작품을 통해 질문을 읽고, 자신의 언어로 답한다. 이는 철학자 바흐친의 “예술은 응답하는 행위”라는 주장과 맞닿아 있다. 독백이 아닌 대화, 타자의 시선 속에서 살아나는 예술을 실현한 것이다.
 

박야일의 선택과 응답: 《산 나르기》

박야일은 유진숙의 작품 《산 나르기》를 “묻는 작품”으로 선택했다. 노동에 지친 인물이 산을 짊어진 채 땅으로 꺼지는 장면은 인간의 무모함과 상처를 상징한다. 이에 박야일은 상처 난 등짝에서 피어나는 생명과 연기를 통해 “관계 속에서 발생하고 치유되는 고통”이라는 불교의 ‘연기’ 사상과 아도르노의 예술론을 시각화했다.


유진숙의 선택과 응답: 《벽을 건너니》

유진숙은 박야일의 《벽을 건너니》를 “묻는 작품”으로 선택했다. 벽 앞에 선 인간의 망연자실한 모습은 자유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던진다. 이에 유진숙은 한쪽 날개만 가진 인물을 통해 구조적 억압과 굴절된 욕망을 표현하며, “인간은 진정 자유로운가”라는 질문을 되묻는다.

기획자의 시선

정요섭 기획자는 “두 작가는 서로 만나본 적 없지만, 작품을 통해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며 “다른 길을 걷고 있지만 반드시 만날 운명”이라 표현했다. 그는 두 작가에게 ‘묻고 답하기’ 전시를 제안했고, 작가들은 모든 일정을 뒤로한 채 작품에 몰두했다.


전시의 의미

이번 전시는 인간성과 사회의 본질을 정면으로 응시하며, 예술을 통해 응답하는 두 작가의 지속성과 일관성을 보여준다. 작가의 벽을 넘고, 타자의 작품에 응답하는 이 특별한 시도는 “존엄한 밥(생명)의 가치”를 되새기게 한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르떼숲#박야일작가#유진숙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