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267] 곽희옥의 "위대한 태권도" 외 2편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위대한 태권도

 

곽희옥

 

옆차기 앞뒤차기 뛰어차기 돌려차기

 

두 바퀴 반 회전 돌려 가슴 탑 타 오른다

 

화려한

기술과 묘기

위력 격파 한 방이다

위대한 태권도 _곽희옥 시인 [이미지:류우강 기자]

 골맛

 

축구시합 어둠 속에 터진 황금 헤딩골

쌓인 근심 탄산수 터지듯 한순간 사라지고

! 그 밤 승리 한 모금 쏟아지는 별똥별  

골맛 _ 곽희옥 시인 [이미지:류우강 기자]

 

얼음꽃 두 별

―피겨스케이팅

 

빙판 위 하얀 날개 펼쳐 날카로운 칼날이 그리는 꿈

 

넘어지고 일어서기를 수없이 반복하며 음악에 몸을 맡긴 채 화려한 날갯짓처럼 빙글빙글 돌아 어지러운 세상을 잊게 한다 온갖 찬란함을 압도하는 빛나는 태극기 물결이여

 

얼음 위 맑은 몸짓에 온 세상 벅차오른다

 

—『치약 같은 인생』(고요아침, 2025)

  

김연아 선수의 경기 장면 [사진:인터넷 갈무리]

  [해설]

 

   스포츠 관람의 기쁨

 

  직접 시합에 나가 우승을 하거나 금메달을 따면 선수는 기분이 정말 좋을 것이다. 올림픽 같은 큰 경기에서 시상대에 올라가는 이들의 기쁨이 어떨지, 겪어본 적이 없으므로 상상도 할 수가 없다. 세계 최고의 선수, 혹은 세계 최고의 팀이 되었으니 그 기분을 한자로 표현하면 환호작약(歡呼雀躍)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경기를 보는 이도 즐겁다. 손흥민이 골을 넣었을 때, 이정후나 김하성이 홈런을 쳤을 때 한국인치고 기분 안 좋은 이가 없을 것이다. 태권도는 사람의 몸이 얼마나 역동적인지 알 수 있게 한다. 옆차기 앞뒤차기 뛰어차기 돌려차기는 시범을 봐도 멋진데 시합에서 그런 기술을 구사함으로써 우리 선수가 승리하면 만세를 부르고 싶다. 두 바퀴 반 회전 돌려 가슴 탑을 타고 오르는 것은 마술인지 기술인지. 사람인지 귀신인지.

 

  축구시합에서 거의 마지막에 이르러 터진 헤딩골이 결승골이 되었는데 그 골의 주인공이 우리나라 국적의 선수라면 흥분되어 잠이 잘 오지 않을 것이다. 곽희옥 시인은 스포츠의 매력이 어디에 있는지 잘 알고 있다. ‘골맛을 와르르 쏟아지는 별똥별을 보고서 하는 환호와 작약으로 표현하였다. 2002년 월드컵 때 안정환의 헤딩골이 바로 그랬다. 그때 중계 아나운서는 아아 대한민국 만세입니다.”라고 외쳤다. 그 골로 우리는 이탈리아를 누르고 8강에 진출하였다.

 

  피겨스케이팅의 아름다움은 또 어떤가. 우리는 김연아라는 세계적인 선수의 묘기를 보면서 행복해 했었다. 얼음꽃 두 별이라 함은 스케이트 두 날이라는 뜻인지 남과 여가 함께 추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중장을 길게 써 엇시조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훈련시의 힘겨움이 영광의 태극기 물결로 바뀌는 것으로 보아 김연아 선수인 것 같다. 그 무렵 몇 해 동안 얼음 위 맑은 몸짓에 온 세상이 벅차올랐었다. 운동선수들 승리의 기쁨 뒤에는 얼마나 치열하고 처절한 연습의 시간이 있었는지 관중은 잘 모른다. 우리는 그들의 승리에만 기뻐하지 말고 고된 훈련에도 큰 박수를 보내야 할 것이다.

 

  [곽희옥 시조시인]

 

  경기대학교 독서지도학과, 시조창작전공 석사 졸업. 2012년 《화백문학》 시 부문, 2018년 《시조시학》 시조부문 신인상 등단. 동시집 『유치원에 간 청개구리』. 경기시조시인협회 작품상 수상. 현재 화백문학 사무국장, 여성시조 이사, 열린시학회 운영이사, 한국시조시인협회 운영위원, 경기시조시인협회 사무차장, 사회복지사, 한국어 강사, 언어논술 학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윤동주-청춘의 별을 헤다』『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 시와시학상, 편운상, 가톨릭문학상, 유심작품상, 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곽희옥시인#시조해설#이승하의시조해설#시조읽기#친구에게들려주는시조#코리아아트뉴스#kan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