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김재이 작가 두 번째 개인전 ‘평화의 섬’ 개최
뉴욕 브루클린의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Thomas VanDyke Gallery)에서 오는 11월 15일부터 김재이 작가의 두 번째 개인전 ‘평화의 섬’이 열린다.
지난해 첫 뉴욕 진출전에서 전 작품이 매진되는 성과를 거둔 김재이는 이번 전시를 통해 다시 한 번 관람객과 만난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제주에 위치한 갤러리 제주와의 협업으로 기획되어, 도시와 섬을 연결하는 작가 특유의 감성을 뉴욕까지 확장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번 전시에서 김재이는 서로 다른 두 소녀의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풀어낸다. 빠르게 돌아가는 도시 속에서 내성적으로 살아야 했던 피에로 소녀와, 척박한 섬에서 가족을 위해 바다에 뛰어들어야 했던 어린 해녀가 그 주인공이다. 피에로 소녀는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 자화상에서 출발했으며, 어린 해녀는 제주로 이주한 뒤 만난 해녀들의 삶을 탐구하며 얻은 영감에서 비롯됐다. 전혀 다른 시대와 환경을 살아온 두 인물은 작품 속에서 만나 공감과 희망을 공유한다.

작가노트에서 김재이는 “피에로 소녀는 얼룩말이 되고 싶어 했고, 어린 해녀는 호랑이를 찾고 싶어 했다”는 은유적 표현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삶의 의미를 강조한다. 그의 작품은 격정적인 색채로 인간 내면의 성장통을 표현하는 피에로 소녀 연작과, 절제된 색채와 고요함으로 제주 해녀의 삶을 담아낸 작품을 통해 도시와 섬, 격정과 서정 사이를 오가며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자유를 탐구한다.
김재이는 2017년 미국에서 순수 미술화가로 정식 데뷔한 이후, 좌절 속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았던 자신의 삶을 작품에 투영해왔다. 이번 전시 역시 관람자에게 어린 시절의 꿈과 순수한 소망을 다시금 떠올리게 하며, 공감과 희망을 자아내는 힘을 보여준다.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는 “1950년대의 어린 해녀와 1980년대의 피에로 소녀 이야기를 2025년 뉴욕에서 감상할 수 있다”며,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두 소녀의 강인한 삶을 관람객에게 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재이의 작품에는 프레임, 계단, 커튼과 같은 상징적 요소가 등장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왕관, 리본, 꽃가루 같은 반복되는 모티프는 축복을 상징한다. 이는 도시의 혼란 속에서 성인의 성장통을 겪는 자신과 같은 이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이자, 용기를 건네는 행위다." 라고 김재이 작가의 작품을 소개했다.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는 2022년 뉴욕 브루클린에 설립된 현대 미술관으로, 다양한 예술가들과 협력하며 혁신적인 전시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협력 기관인 갤러리 제주는 제주를 기반으로 국내외 전시를 기획하며 신진 및 기성 작가와 갤러리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김재이 작가가 도시와 섬, 과거와 현재, 좌절과 희망을 잇는 예술적 여정을 보여주는 자리로, 관람객들에게 강렬한 울림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