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연예]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 팡파르


[문화예술=코리아아트뉴스 이청강 기자]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지난 9월 17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야외극장에서 개막했다.

개막식 사회는 배우 이병헌이 단독으로 맡았으며, 이날 배우 이병헌은 “30년 전 부산에서 시작된 작은 꿈이 이제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가 됐다. 저도 1995년에 첫 영화를 찍으며 30년차 배우가 됐다”며 “영화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건 모든 이야기에는 시작이 있다는 것”이라고 인사했다.

개막작은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 이며, 이날 어쩔수가없다' 팀이 17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열린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30th BIFF 2025) 개막식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해 포즈를 취했다.
레드카펫에는 손예진, 한소희, 전종서, 김유정, 김영대, 한효주, 전소니, 김민하, 홍경 등 국내 스타들과 함께 사카구치 켄타로, 마르코 벨로키오, 밀라 요보비치 등이 참석해 환호를 받았다.
한편 지난 17일 개막식에서는 공로 시상도 이어졌다. 한국영화공로상은 정지영 감독에게 돌아갔다. 정 감독은 “검열과 독점, 외화 공세 속에서도 동료들과 함께 싸워왔다. 잠깐 위기에 처해 있지만 보석 같은 한국영화를 많이 찾아봐 달라”고 소감을 밝혔다.
샤넬과 함께 제정한 여성영화인상 ‘카멜리아상’은 대만의 실비아 창이 수상했으며, 아시아영화인상은 이란의 자파르 파니히 감독이 받았다. BIFF 시네마 마스터 명예상은 이탈리아의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에게 수여됐다.
올해 30주년을 맞이한 부산국제영화제는 오는 26일까지 총 64개국 328편의 작품을 만날수 있다.
올해 공식 포스터, 부산국제영화제 30회를 기념해, 영화제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는 ‘인장’을 전면에 내세워
강렬한 붉은 모래 위에 놓인 인장은 지난 30년간 관객 그리고 영화인들이 함께해온 열정과 시간을 고스란히 새기듯 자리 잡고 있다.
여기에 붓으로 써 내려간 캘리그라피 숫자 ‘30’은 강렬한 필치로, 영화제의 축적된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붉은 빛의 모래 텍스처 위에 펼쳐진 인장과 유려한 붓 터치로 표현된 ‘30’, 그리고 그 위에 배치한 텍스트는 전통성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지며 조화로운 미감을 완성한다.
부산국제영화제가 걸어온 30년의 시간과 더불어 새로운 도약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포스터 디자인은 부산국제영화제 최순대 미술감독이 기획 및 디자인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