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97] 최성아의 "현수막이 바람 타는"
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97] 최성아의 "현수막이 바람 타는"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시조 해설]

현수막이 바람 타는

 

최성아

 

구독을 강요하는 지면이 펄럭인다

말이 아닌 글자가 오히려 독인 것을

좋아요 끌어들이는

저들 내막 가린 채

 

출근길 찌푸리는 팽팽한 편 가르기

진짜라 꾸며대며 미끼 마구 흔든다

터질 듯 부풀어 오른

민의 없는 구호들

 

―『휴머니스트』(책만드는집, 2025)

 

현수막 바람 타는 _ 최성아 [ 이미지: 류우강 기자]

 [해설

 

  현수막은 사전 선거운동

 

  운전을 못 배워 버스를 타고 돌아다니다 보니 서울 시내 곳곳에서 현수막을 어떤 날은 하루에 10개 이상을 본다. 바뀌는 날짜를 셈해보지는 않았지만 1주일에 한 번 혹은 열흘에 한 번 바뀌는 것 같다. 얼굴 사진을 크게 넣어 국회의원 개인의 이름으로 내거는 경우가 있고, 당의 이름으로 내거는 경우도 있다.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자신의 치적을 선전하거나 맞서고 있는 당이나 정적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그런데 사용하는 언어가 대단히 상스러워 눈살을 찌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 자리에 위아래로, 또는 옆으로 여러 개 걸려 있어 공해라는 느낌도 든다. 재활용이 불가능해 태워야 할 텐데 페인트를 흠뻑 머금고 있어 유독가스가 나오지 않을까?

 

  최성아 시조시인도 현수막을 보고 화가 난 경우가 있었던가 보다. 그것들은 시민들에게 읽기를 강요하고 있다. 억지로 읽으라고 명령하고 있다고 보아 구독을 강요하는이라는 표현을 썼다. 그 글자들은 대체로 사람들에게 반감을 불러일으킨다. 여러 사람의 치적을 혼자의 공으로 포장하기도 한다. 다수의 국회의원이 발의하여 통과시킨 것도 혼자만의 공인 양 자화자찬한다. 과정이나 내막은 숨긴 채 침소봉대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출근길에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팽팽한 편 가르기를 주민들은 매일 보아야 한다. 권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어떤 때는 가짜를 진짜라 꾸며대며 미끼를 마구 흔든다. “터질 듯 부풀어 오른/ 민의 없는 구호들은 다음번 선거를 위한 사전 선거운동이 아닌가. 국회의원 낙선자는 올리기 어려운 자리지만 현역 국회의원은 아무 거리낌 없이 사흘 도리로 올리니까 차별이요 불균형이란 느낌도 든다.

 

  알고 싶다. 현수막이 전국 주요 도시에 하루에 몇 백 장이 매달릴까? 그것을 묶는 비닐 끈의 양은? 현수막은 태우는가 땅에 묻는가. 다 공해의 원인이 될 것이다.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아무리 현수막을 내건 사람이 선량(選良)이라도 아침 출근길에 그의 욕을 들으면 기분을 영 잡치고 만다.

 

  ‘저는 다 아는 겁니다. 왜 자기 자랑을 그렇게 열심히 합니까?’ ‘상대방 당과 의견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렇게 상스럽게 욕하면 제 얼굴에 침 뱉기 아닙니까?’ 이런 말을 안 해도 될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최성아 시조시인]

 

  마산여고를 거쳐 부산교육대학 졸업. 2004년 《시조월드》 신인상으로 등단(본명: 최필남). 시조집 『부침개 한판 뒤집듯』『달콤한 역설』『내 안에 오리 있다』『아리랑 DNA, 시선집 『옆자리 보고서』, 동시조집 『학교에 온 강낭콩』『창마다 반짝반짝』『가위바위보』. 부산시조 작품상, 한국꽃문학상, 한국동시조문학상, 39회 성파시조문학상, 《문학도시》 작품상 수상, 현재 《시조정신》 편집장, 부산시조시인협회장.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시와시학상편운상가톨릭문학상유심작품상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최성아시인#시조해설#시조읽기#코리아아트뉴스시조해설#하루에시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