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추천] 호랑이 여자를 만나다 - 이광 개인전 《우주호랑이–호랑이 여자로 산다는 것은》
전통 한국 호랑이의 상징성을 신표현주의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흥미로운 전시가 서울에서 열린다.
서울 종로구 갤러리마리에서 오는 2025년 11월 2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이광 작가의 개인전 《우주호랑이–호랑이 여자로 산다는 것은》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내면에서 태어난 호랑이라는 존재를 통해 상처와 구원의 서사를 회화로 풀어내며, 한국적 신표현주의의 새로운 지평을 보여준다.

어린 시절의 상처와 호랑이의 탄생
이광의 회화는 단순한 미술적 표현을 넘어, 어린 시절의 상처에서 비롯된 기도의 형상이다. 그녀는 폭력적인 아버지와 무력한 어머니 사이에서 자라며 “어머니를 구원하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을 품었다. 그 마음속에서 태어난 존재가 바로 호랑이였다. 호랑이는 강하고 두렵지만 동시에 자비로운 존재로, 그녀에게 단순한 동물이 아닌 신적 자아였다.
삶을 포기하려 했던 평양의 밤, 어머니가 건넨 성경의 빛 속에서 그녀는 호랑이를 보았고, 이는 이후 작품 속 ‘신적 빛의 원형’으로 자리 잡았다. 호랑이는 그녀의 길을 명확히 했고, 그 길은 치유와 구원의 여정으로 이어졌다.

독일에서 찾은 존재의 그림
이광은 독일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뒤, 독일 표현주의 거장 마르쿠스 뤼퍼츠(Markus Lüpertz)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존재의 본질을 그리는 그의 수업은 그녀를 수년 후 마이스터슐러(Meisterschülerin)로 성장시켰다. 그녀의 붓질은 단순한 기법이 아니라 존재를 폭로하고 상처를 응시하는 행위였다. 붓질을 통해 그녀는 자신의 상처를 직면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존재의 빛을 길어 올렸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이미지가 아니라, 존재의 본질을 묻는 신표현주의적 탐구였다.

한국적 신표현주의의 확장
이광의 회화는 종교화에 머물지 않는다. 그녀는 샤머니즘의 형상, 기독교적 사유, 철학적 서사를 결합해 ‘호랑이 여인’이라는 독창적인 미술 세계를 구축한다. 이는 한국적 신표현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관람객에게 “호랑이 여자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그녀의 작품은 단순히 개인의 상처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 상처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존재와 구원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존재의 무게와 빛을 마주하게 된다.

전시의 의의
이번 전시는 단순한 개인전이 아니라,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광은 독일 표현주의의 전통을 한국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하며, 샤머니즘과 종교적 사유를 결합해 독창적인 회화 세계를 구축했다. 그녀의 작품은 관람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며, “호랑이 여자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묻는다. 이는 단순히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넘어, 인간 존재의 본질과 치유, 그리고 구원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예술적 여정이다.
전시 정보
- 기간: 2025년 11월 21일(금) – 12월 20일(토)
- 장소: 갤러리마리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1길 35 마리빌딩)
- 관람 시간: 화–토요일 11:00–19:00 (일요일 휴관)
- 문의: 02-737-7660 / info@[email protected]
- 웹사이트: gallerymarie.org
- 인스타그램: @gallerymarie_
이광의 개인전은 상처와 구원의 서사를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관람객은 작품 속 호랑이를 통해 존재의 빛을 발견하고, 치유와 구원의 여정을 함께 걸어가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