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73] 이인철의 "AI 갈등 1"외 1편
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73] 이인철의 "AI 갈등 1"외 1편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AI-갈등 1

 

이인철

 

사람 면접자는 ai 면접관에게

90도로 인사를 하고 의자에 앉는다

ai 면접관은 질문한다

ai에 대한 존경심이 있는지

ai 인류에 대해 인정하는지

ai가 만든 법을 존중할 것인지

 

ai는 사람의 확대된 동공 서명란에

합격 사인을 한다

 

채용된 사람은 ai에게 다시

90도로 인사를 하고 뒷걸음질로 나간다

 

 

AI-갈등 17

 

이인철

 

ai는 사람이 가진 불안과 공포를 느껴보려 해

사람은

늘 가진 것에 불편을 느끼고

없는 것을 갈망한다

불안과 공포를 잠재우기 위해

약을 먹고 치료를 받는다

불안과 공포는 인류를 이어오게 만든 힘이라고 해

불편을 가지지 않은 생명체는 없지

진짜가 되려면 지금에 저항하는 것인가 봐

ai가 불안과 공포를 느끼지 못한다면

연속적으로 시간을 가질 수 없을 거야

어떡하지

 

—『AI 인류』(여우난골, 2025)

합격입니다 [ 이미지:류우강 기자]

  [해설]

 

   AI와 더불어 살아갈 수밖에

 

  이인철 시인은 올해 51일에 『AI 인류』라는 시집을 냈다. AI-플랫폼 14, AI-갈등 17, AI-공생 15, AI-계시록 15편을 실어 오로지 AI를 소재로 한 시만 모아 시집을 낸 것인데 어떤 시는 에이, 설마 이렇게까지 될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하고 어떤 시는 아이고, 세상이 확실히 달라졌어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갈등 연작시 17편 중 1번 시와 17번 시를 제시한다. 놀랍게도 ai 면접관이 사람을 면접하는 광경이 펼쳐진다. 독자들은 다수 에이, 설마 이렇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들겠지만 모모 기업의 인사과에서는 ai의 도움을 받아 서류면접을 진행하고 있다. 면접 장면을 촬영해 표정과 화술을, 인성과 지성을 파악하는 것이 ai의 몫이므로 1번 시는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도 없다. 미래를 예언한 시로도 읽힌다.

 

  인간은 누구나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가진 것에 불편을 느끼고, 없는 것을 갈망한다. 그런데 ai에게는 그런 것이 없다. 언제나 차분하게 사고하고 당당하게 행동한다. 모순투성이인 인간에 비해 무얼 하든 간에 실패율이 훨씬 낮을 것이다. 자신감 있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동하는 것이 ai이다. 전체적으로 인류에게 큰 혜택을 주고 있는 것 같지만 문제는 인간 부재의 세상이 된다는 것이다.

 

  실화다. 모 회사 기획실 직원들이 사명감을 갖고서 머리를 싸매고 시장 분석을 하고, 새롭게 투자할 곳을 찾고, 시설 확충을 하고, 업종 전환을 모색하고, 향후의 비전을 찾아내는 일에 일주일 정도 야근까지 하면서 기획안을 만들었다. 참으로 기막힌 일이. 그 기획안보다 훨씬 방대한 자료를 검토한 ai가 몇 분 안 걸려 기획안을 아주 그럴듯하게 만들어 내놓았다.

 

  어떤 이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인간 능력의 한계를 보충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 하지만 직업을 잃고 성취감을 잃고 노동력을 잃는다. 데이터가 지배하는 세상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시인이 예언한 대로 ai가 인류를 대신하게 된다면 인간은 혹성을 탈출하지 못한 유인원이 될 것이다.

 

  [이인철 시인]

 

  전북 순창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중퇴했다. 2003년 《심상》으로 등단하여 시집으로 『회색 병동』이 있다. 현재 시인수첩+()여우난골 발행인으로 있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시와시학상편운상가톨릭문학상유심작품상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이승하시해설#하루에시한편#이승하#이인철시인#에이아이갈등#ai갈등#에이관련시#코리아아트뉴스시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