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221] 조병도의 "죽은 고양이를 애도함"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죽은 고양이를 애도함

 

조병도

 

꽁냥꽁냥 상냥하지도 않았던 아이

그냥저냥 소꿉장냥하는 재미도 없었던 아이

눈동냥 귀동냥에도 어두웠던 아이

마냥 게으르고 하냥 서툴렀던 아이

제 깜냥으론 생쥐 사냥도 못했던 아이

가끔은 이게 모냥? 왜 이러냥?

비아냥거리고도 싶었던 아이

그러나 왼쪽 눈엔 성냥 한 개비의 따스함이 빛났던 아이

오른쪽 눈엔 성냥 한 개비의 따스함이 빛났던 아이

그리하여 천만 냥을 준대도

바꾸기 싫었던 아이

그 아이 냥이를 애도하고 추억하며……

 

―『반짝이는 너에게』(바른북스, 2022)  

죽은 고양이를 애도함_조병도 [ 이미지:류우강 기자] 

 [해설]

 

  농경사회와 산업사회의 다른 점은? 생산 구조가 완전히 다른 것도 있지만 가족 구성원이 농경사회 때는 3대나 4대가 한집에서 살았고, 산업사회에서는 2대가 사는 것이 확연히 달라진 점이다. 농사는 노동집약적이어서 같이 씨를 뿌리고 같이 추수할 사람이 있어야 했다. 산업사회의 가족 구성원은 소수임에도 식사 시간이 다른 경우가 많다. 각자 자기 방에 들어가 자기 일을 하기에 많은 가족이 남남처럼 살아간다. 이제는 노인들이 혼자 사는 경우가 많다. 결혼하지 않는 젊은이들도 많다. 결혼해도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가 꽤 된다.

 

  그래서 반려견, 반려묘가 많이 생겨났는지 모르겠다. 개는 붙임성이 좋은데 고양이는 약간 도도하다. 주인이 외출했다 돌아오면 개는 반갑다고 난리를 치는데 고양이는 힐끗 보고 꼬리를 두어 번 흔든다. , 왔어? 고생했어. 쉬어.

 

  개가 주연급이나 조연급으로 나온 미국 영화는 워낙 많아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그런데 고양이가 주인공격으로 나온 영화는? 내 기억으로는 없다. <톰과 제리>를 보면 고양이가 하도 바보 같아서 쥐한테 늘 당하고 산다. 조병도 시인은 고양이를 키웠나 본대 별 재미는 느끼지 못했었나 보다.

 

  짜식이 게으르고 허구한 날 잠이나 자. 밥만 축내는 것 아냐? 이런 구박을 받아도 고양이는 사랑을 구걸하지 않는다. 동물 키우기가 얼마나 힘든지 키워본 사람은 알 것이다. 화자가 도도한 고양이와 살아가다가 그만 고양이를 잃고 만다. 그러자 비로소 고양이 한 마리가 본인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였는지 깨닫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 단순하고 유머러스한 이야기를 고양이를 키우는 이가 본다면 큰 감동을 받을 것이다.

 

  나이가 같은 강아지와 고양이를 함께 반년 동안 키운 적이 있었다. 잘 놀다가도 싸울 때면 고양이가 쏜살같이 달아나고 강아지가 맹렬히 추격하여 온 집안이 난리가 났다. 동물이 조용한 집에서 큰 활력소가 되는 것이다.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있는 듯 없는 듯 살아가는 도둑고양이 두 마리한테 간혹 사료를 주니까 내가 다가가면 반갑다고 냐옹냐옹 하고 운다. 그 소리가 정말 듣기 좋다. 각자가 외따로 떨어진 섬인 현대인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고양이들에게 우리는 사실상 큰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다.

 

  [조병도 시인]

 

  중앙대 문예창작학과를 나와 기자와 영화잡지 편집장으로 일했다. 지은 책으로는 『사랑, 그 슬픈 동화』『데이트할 때 할 수 있는 707가지 일들』 등이 있다. 사소해 보이는 것들의 사소하지 않음, 하찮아 보이는 것들의 하찮지 않음, 무의미해 보이는 것들의 의미심장함을 발견하고 대변하는 글을 지향한다. 매일매일이 소풍이고, 하루하루가 축복이며, 순간순간이 선물이라 여기며 살고 있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 시와시학상, 편운상, 가톨릭문학상, 유심작품상, 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조병도시인#시해설#코리아아트뉴스#kan#죽은고양이를애도함#이승하시해설#시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