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문학일반

[최태호 교수의 삼삼한 우리말] 아버지, 아빠, 아비,선고, 가친,아버님

최태호 교수
입력
☆친족의 호칭법☆

친족은 흔히 동고조팔촌(同高祖八寸)이라고 해서, 고조할아버지가 같으면 친족입니다. 즉 8촌 이내의 겨레붙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자기의 아버지를 남에게 이를 때

"우리 아버님께서~~"

라고 하는 말은 비례非禮입니다.
 

♤아버지 :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 남에게 말할 때

♤아빠 : 취학  전 어린 아이가 아버지를 부를 때(요즘은 다 큰 여인들도 아빠라고 부르더군요. 친정 아버지는 아빠, 시아버지는 아버님.
하지만 아빠는 치어稚語라고 해서 어린 아이의 용어입니다.)

♤아비 : 아버지보다 어른에게 말할 때

♤가친家親 : 남에게 자신의 아버지를 말할 때

♤선고先考,선친先親 : 돌아가신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선대인, 선고장 : 돌아가신 남은 아버지를 말할 때

♤소자, 저 : 아버지에게 자신을 말할 때

♤불초不肖 : 아버지에게 자신을 낮추는  의미(아들은 아버지를 닮아야 하는데 닮지(肖) 못했다(不)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때 '불초 소생'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