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181] 옥효정의 "카카오톡 부고"
카카오톡 부고
옥효정
먼저 떠납니다
지병인 창작 강박증과
시대의 통증 합병증으로
기억의 톱니바퀴가 멈췄습니다
이름 옆 프로필 사진을 누르고
숨길을 따라오면
‘카카오스토리’라는 쉼표 같은 집이 나옵니다
별도의 로그인은 필요 없습니다
노란 리본이 걸린 대문을 지나서
달력 넘기듯 화면을 위로 넘기면
시간을 역주행해 생전의 한때와 만날 수 있습니다
그동안 발표한 졸시도 볼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들면 퍼 가셔도 좋습니다
의례적인 하얀 국화 대신
노란 바람개비 이모티콘 하나 남겨 주세요
돌아올 곳이 있다는 것이
한편으로는 다행입니다
미리 집을 마련해 놓길 잘했습니다
손님 몇 분이 머물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오래도록 귀 기울여 듣기만 하겠습니다
부끄러움이 많은 시간이었지만
시인이어서 행복했습니다
부디 만수무강하세요
p.s
고인이 생전에 써놓은 부고입니다
고인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카친님들께 보냅니다
혹시라도 잘못 전달되었다면 죄송합니다
—『우리는 더 단단해지기로 했다』(애지, 2025)

[해설]
이제는 죽음도 형식
아주 재미있는 시지만 씁쓰레한 뒷맛이 남는다. 아 정말 나도 저런 부고를 남기고 죽을까 보다 하는 생각이 든다. 제1연과 2연은 고인이 생전에 써놓은 부고라고 한다. 미리 써놓은 부고를 보니 그는 시인이었다. 화면을 뒤로 넘기면 시인이 그동안 발표한 졸시도 볼 수 있게 해놓았단다. 마음에 들면 퍼 가셔도 좋단다.
시인이 죽기 전에 작성한 이 문서를 죽은 이의 아내는(혹은 자식은) 고인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카친님들에게 보내야 한다. 유언이나 마찬가지니까. 엉뚱한 사람에게 갈 것을 예상해 부고를 보낸 이는 사과의 말까지 마지막에 적어놓았다.
이 시는 일종의 세태시라고 할까 풍자시라고 할까. 거의 모든 의사 표현이 카톡으로 이뤄지고 있는 현실을 아주 잘 반영하고 있다. 지금은 휴대폰만 있으면 은행 업무, 병원 업무, 물건 주문, 대화, 부탁, 신청, 청탁, 협박, 오락, 게임, 길 찾기, 택시 부르기 등 못하는 것이 없다. 청첩장도 우편으로 안 오고 대부분 카톡으로 온다. 부고도 카톡으로 받는다. 단톡방에 부고가 뜨면 많은 사람이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의례적인 인사를 보낸다. 그 줄줄이 사탕처럼 이어져 있는 인사를 유가족이 보면 기분이 어떨까? 고맙다는 생각이 과연 들까?
누군가 책을 내면 단톡방에 단톡방 운영 관리자나 저자의 지인이 책 출간을 축하한다는 짧은 글을 책 표지와 함께 올리는데 그것을 본 사람이 시집을 숙독하고 독후감을 올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모든 것이 형식이고 의례다. 그래도 이 시의 주인공인 시인과 p.s를 쓴 이는 인간의 도리를 다한 것이다. 아주 예의가 바른 사람이다.
[옥효정 시인]
2014년 월간 《시문학》으로 등단했다. 한국작가회의 회원, 인천작가회의 회원, 시문학회와 참살이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 시와시학상, 편운상, 가톨릭문학상, 유심작품상, 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