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

[이승하의 하루에 시 한 편을 235] 이승하의 "죽기 전에 먹고 싶었던 것"

이승하 시인
입력
수정

죽기 전에 먹고 싶었던 것

 

이승하

 

폐결핵에 걸리면 시한부 인생이 되는 것

다 죽어가면서도 펜을 잡고서

김유정, “닭과 구렁이를 고아 먹어야겠다.”

이상, “레몬을 구해다 주오.”

 

이빨로 대충 씹어 꿀꺽 삼키면

식도를 타고 내려가는 것

그대들 그토록 먹고 싶어 찾았건만

못 구했다 못 먹었다

 

돌아가신 어머니가 가끔 해주신

콩죽이 오늘따라 사무치게 먹고 싶다

아내가 해놓으면 식구들 중 나 혼자만

퉁퉁 불어터질 때까지 먹는 콩죽

 

나 죽기 전에 딱 한 번만

어머니가 해주신 바로 그 콩죽의 맛

맛보고 싶다 구수한 콩죽 먹으며

스르르 잠들고 싶다 영원한 잠, 편안한 잠을

 

먹고사는 것보다 더 힘든 것이 있으랴

구걸해서라도 먹어야 사는 법

돌아서면 입은 아 배고파 소리치고

위장은 꼬르륵 맞장구를 친다

시는 배가 고파야 나오는 것이거늘

나 삼시세끼 꼬박꼬박 먹으며, 배부르게 먹으며

 

죽기 전에 그대들 먹고 싶었던 것

먹지 못하고 죽어 목이 메는 절명이다 단명이다

 

*김유정(19081937), 이상(19101937)

 

―『사람 사막』(더푸른, 2023) 

글이 잘 안 씌어질 때나 몸이 아플 때, 마음이 스산할 때면 김유정과 이상을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의 몸을 불살라 글을 썼는데 나는 지금 이 무슨 태만인가. 핑계인가. 자만인가 _ 이승하 [ 이미지: 류우강 기자]

 [해설

 

  그 시절의 질병과 궁핍

 

  그 시절에는 잘 먹지를 못했다. 한 끼 밥이라도 배불리 먹어보는 것이 소원이었던 사람들이 이상과 김유정뿐이었을까. 폐결핵에는 약도 없었지만 잘 먹지를 못했으니 시한부 삶이었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은 한국 문학사의 명작들을 기침을 콜록콜록 해가면서, 때로는 피까지 토해가면서 썼다. 배에서는 계속해서 꼬르륵꼬르륵 소리가 났을 것이다.

 

  김유정의 소설을, 이상의 시와 소설과 수필을 평상심으로 읽을 수 없다. 얼마나 절박한 심정으로 썼을까. 그 당시엔 폐결핵 환자로 판명이 나면 10년 이내에 죽는 것이 거의 확실했다. 언제 저승사자가 방문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두 사람은 자기 자신의 몸을 횃불로 삼아 원고지와 씨름을 했다. 거의 필사적인 용기와 가학에 가까운 열정으로 쓰고 또 썼으니 몸이 견뎌낼 수 없었다. 스물아홉, 스물일곱의 청춘은 그렇게 갔다. 그 엄청난 작품들을 써놓고.

 

  글이 잘 안 씌어질 때나 몸이 아플 때, 마음이 스산할 때면 김유정과 이상을 생각한다. 그들은 자신의 몸을 불살라 글을 썼는데 나는 지금 이 무슨 태만인가. 핑계인가. 자만인가. 신춘문예 시상식장에 못 오신 소설가 송영 선생님을 인사차 댁으로 찾아뵈었을 때 자기는 작품이 잘 안 되면 (젊었을 때였지만) 벽에다 머리를 쾅쾅 박곤 했었다는 말씀을 해주셨다. 그런 각오로 써야 한다. 쓸 것이다.
 

이승하 시인,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

이승하 시인


1984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1989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소설 당선

 

시집 『우리들의 유토피아』『욥의 슬픔을 아시나요』『생명에서 물건으로』『나무 앞에서의 기도』『생애를 낭송하다』『예수ㆍ폭력』『사람 사막』 등

 

평전 『청춘의 별을 헤다-윤동주』『최초의 신부 김대건』『마지막 선비 최익현』『진정한 자유인 공초 오상순』

 

지훈상, 시와시학상, 편운상, 가톨릭문학상, 유심작품상, 서울시문화상 등 수상

 

코리아아트뉴스 전문위원
 

[email protected]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승하시인#죽기전에먹고싶었던것#시해설#김유정#이승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