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출판/인문
도서/출판

[효산 책다락 18] 조지 버나드 쇼의  "피그말리온"

효산 남순대 시인
입력
수정
“사람은 기대에 따라 성장한다”

■ 책 소개


이 작품은 ‘언어가 신분을 결정한다’는 영국 사회의 현실을 통렬하게 풍자한 이야기입니다.


주인공 헨리 히긴스 교수(Henry Higgins)는 음성학 전문가로, 런던 하층민의 말투(특히 코크니 방언)를 교정해 상류층의 말씨로 바꿀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어느 비 오는 밤, 꽃 파는 처녀 일라이자 둘리틀(Eliza Doolittle)이 그에게 말을 걸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히긴스는 장난 삼아 “6개월 안에 이 거친 말투의 소녀를 상류층 숙녀처럼 말하게 만들겠다”고 내기를 걸고, 실험 삼아 그녀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교육을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천박하고 억센 말투를 고치지 못하던 일라이자가, 점차 발음·말투·예절을 익히며 놀라운 변화를 보여주고, 결국 사교계 파티에서도 완벽히 상류층 여성으로 인정받습니다.


하지만 교육이 끝난 뒤, 일라이자는 자신이 단지 ‘히긴스의 실험 대상’ 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깊은 혼란과 자존감의 위기를 겪습니다.
 

마지막에는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인간의 존엄과 독립을 강조하는 결말로 이어집니다.
 

■서 평
 

이 희곡은 1956년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My Fair Lady)〉로 각색되어 전 세계적 히트를 쳤습니다.
 

오드리 헵번이 주연한 1964년 영화 버전은 아카데미 작품상을 포함한 8개 부문을 수상했죠.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 “사람은 기대에 따라 성장한다”는 심리학 용어도 이 작품 제목에서 유래했습니다.


●작품의 주제


*언어와 계급: 말투가 신분과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부조리한 계급 사회 풍자.


*교육과 인간성: 단순히 외양과 언어를 바꾸는 교육이 아닌, ‘자기 인식과 존엄’을 깨닫는 진정한 교육의 의미.


*여성의 자립: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비판과, 일라이자의 독립 선언을 통한 ‘여성 해방’의 메시지.


*인간의 창조와 책임: 제목이 가리키는 ‘피그말리온’ 신화(자신이 만든 조각상에 사랑에 빠진 조각가)처럼, 히긴스가 일라이자를 ‘창조’했지만 감정적으로 책임지지 않는 아이러니 

조지 버나드 쇼 (George Bernard Shaw, 1856~1950)

●조지 버나드 쇼 (George Bernard Shaw, 1856~1950)

 아일랜드 더블린 출생.  쇼는 가난한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 독학으로 문학과 사회과학을 익혔습니다.

20세 초반에 런던으로 이주하여 극작가로 자리 잡기 전에는 소설가와 음악·연극 비평가로 활동했습니다.

1925년 노벨 문학상 (탁월한 이상주의와 풍자를 담은 희곡들로)과 1938년 아카데미 각색상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의 원작 《피그말리온》으로)을 받음.
 

그는 페이비언 협회(Fabian Society) — 점진적 사회주의를 주장한 단체 — 의 일원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 빈부격차, 위선적인 도덕관념을 비판하는 사회개혁적 지성인이었습니다.


쇼는 문학을 “재미 이상의 것”, 즉 사회 비판과 인간의 자기각성을 위한 도구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그의 희곡은 웃음 속에서도 날카로운 풍자와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대표 작품

 

《인간과 초인 (Man and Superman)》    1903    이상주의적 남성과 현실적 여성의 대립을 통해 ‘인간의 진화’와 ‘창조적 의지’를 탐구.

《성녀 조앤 (Saint Joan)》    1923    잔 다르크의 이야기를 통해 신앙과 이성, 개인과 권력의 갈등을 철학적으로 재해석.

《피그말리온 (Pygmalion)》    1913    언어와 계급, 인간의 존엄에 대한 풍자극.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의 원작)

《워렌 부인의 직업 (Mrs. Warren’s Profession)》    1893    여성의 사회적 억압과 경제적 현실을 비판. 당시 큰 논란을 일으킴.

《무기와 사람 (Arms and the Man)》    1894    전쟁과 낭만적 영웅주의를 풍자. 반(反)전 메시지를 담음.


*사상과 특징


1. 지적 풍자와 사회 비판:
쇼는 웃음을 통해 진실을 말했습니다.
→ “풍자는 진지한 사람의 웃음이다.”


종교, 결혼, 도덕, 계급 등 당시 영국 사회의 금기를 두려움 없이 비판했습니다.


2. 사회주의적 이상

“인간은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변화해야 한다.”

페이비언 협회의 활동가로서 점진적 사회주의를 주장.

그는 폭력혁명 대신 교육과 의식의 진보를 통한 개혁을 믿었습니다.

"피그말리온" by 조지 버나드 쇼 한번에 끝내기 (문학줍줍 책 요약 리뷰 | Book Review) -
 

 https://youtube.com/watch?v=K2M3UdDiMjk&si=9Yj04J783ULg9qc
 
 

share-band
밴드
URL복사
#효산책다락#추천도서#버나드쇼#피그말리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