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이벤트
전시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개인전 “성수동을 구워 서울을 기억해”, 아트레시피에서 열려

신경식 문화예술 전문 기자
입력
사라지는 도시 풍경을 도자 회화로 기록하다 성수동 구옥과 상가의 기억, 도자기에 표현된 영속적 기록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개인전 포스터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개인전 포스터

도시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기억을 쌓아 올리는 동시에 흔적을 지워나가는 풍경은 작가 김수아(1998년생)에게 작업의 원천이자 기록의 대상이 되어왔다. 어린 시절을 보낸 지역의 재개발로 인해 추억의 장소를 상실한 경험은 그의 작업 세계에 깊은 흔적을 남겼고, 이는 도자기라는 영속적인 매체를 통해 도시의 지금을 붙잡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김수아는 오는 924일부터 114일까지 서울 성동구 아트레시피에서 개인전 성수동을 구워 서울을 기억해를 연다. 이번 전시는 아트레시피의 프로젝트 No Vacancy 다섯 번째 전시로, 서울에서 재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성수동을 중심으로 한 신작들을 선보인다.

전시를 진행중인 갤러리 건물과 성수동 일대의 벽돌 상가건물의 모습을 그린 작품
전시를 진행중인 갤러리 건물과 성수동 일대의 벽돌 상가건물의 모습을 그린 작품

작가는 흙 도판 위에 평범한 구옥과 낡은 상가의 모습을 세밀하게 구현했다. 그려진 그림은 유약아래 보존된다. 화려한 최신식 건물이 아닌 일상 속에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장면들에 주목하며, 사라질지도 모를 공간을 애도의 마음으로 기록한다. 관람객은 작품 앞에서 개인의 기억과 감정을 떠올리게 된다. 특히 벽화의 일부를 떼어낸 듯한 형태의 작업은 평면 회화를 넘어 물리적 존재감을 지닌 기억의 조각으로 다가온다.

 

서울여자대학교 아트앤디자인 스쿨 공예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도자공예를 전공한 김수아는 최근 바롬갤러리에서 열린 석사청구 개인전 지금 서울을 비롯해 갤러리 밀, PS 센터, 논더레스, 양구백자박물관 등에서 다양한 그룹전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녀는 도자기는 시간이 지나도 보존될 수 있는 매체라며 사라지는 풍경을 기록하고자 하는 작업 주제와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서 구워낸 성수동의 풍경은, 몇 년 뒤 사라질지도 모를 도시의 찰나를 붙잡은 기억의 매개체이자 관람객에게 익숙함과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장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작업실에서 흙 도판위에 그림을 그린후 긁어내는 기법으로 세밀한 묘사를 진행중인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작업실에서 흙 도판위에 그림을 그린후 긁어내는 기법으로 세밀한 묘사를 진행중인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작업실에서 흙 도판위에 그림을 그린후 긁어내는 기법으로 세밀한 묘사를 진행중인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작업실에서 흙 도판위에 그림을 그린후 긁어내는 기법으로 세밀한 묘사를 진행중인 도자회화작가 김수아
 
신경식 문화예술 전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