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최태호의 삼삼한 우리말] 大知閑閑, 小知間間 (대지한한, 소지간간)
문학/출판/인문
문학일반

[최태호의 삼삼한 우리말] 大知閑閑, 小知間間 (대지한한, 소지간간)

최태호 교수
입력
☆토요일엔 한자 놀이☆
큰 지혜는 고요하나 작은 지혜는 조급하다 _장자 재물론 

大知閑閑, 小知間間 (대지한한, 소지간간)

큰 대, 알 지, 한가할 한, 한가할 한 
작을 소, 알 지, 사이 간, 사이 간


♤ 큰 지혜는 고요하나 작은 지혜는 조급하다


♤ 큰 지혜를 지닌 사람은 얽매이지 않고 여유롭지만 작은 지식을 지닌 사람은 시시비비에 매달린다.


<장자> 재물론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꼭 제 얘기같기도 해요. 쬐끔 아는 지식으로 맨날 잘난 척만 해요. 

여기서 대지(大知)는 智慧(지혜)를 말합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늘 너그럽습니다. 작은 논쟁에 휘둘리지 않고, 순리대로 받아들입니다.


작은 지식를 가진 사람은 늘 따지기 좋아하지요.


큰 지혜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大智若愚대지약우 : 큰 지혜는 어리석어 보인다)
가슴을 비우면 지혜가 들어오고, 머리만 쓰면 고뇌가 생깁니다. 

조금씩 비워 보는 것도  좋아요.

 

share-band
밴드
URL복사
#최태호교수#삼삼한우리말#대지한한#소지간간#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