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이벤트
전시

갤러리몸 기획전 《Woven Layers》 – 여섯 작가가 직조한 ‘겹의 미학’

이병교 기자
입력
- 회화·섬유·미디어가 만들어내는 다층적 시각 경험 - 하석홍, 윤종석, 모용수, 이상미, 이돈아, 임종엽 작가 참여

서울 마포구 메세나폴리스몰에 위치한 갤러리몸(Gallery MoM)  11월 11일(화)부터 11월 30일(일) 까지 기획전 《Woven Layers》 를 개최한다.

갤러리몸 기획전 《Woven Layers》 전시포스터 / 갤러리몸 제공
갤러리몸 기획전 《Woven Layers》 전시포스터 / 갤러리몸 제공

몸그룹()과 갤러리몸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회화, 설치, 섬유, 미디어 등 서로 다른 예술 언어를 지닌 여섯 명의 작가가겹쳐진 층(Layer)’이라는 공통된 화두를 중심으로 풀어낸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제목처럼직조된 층들을 주제로, 각 작가의 삶과 예술 세계가 중첩되며 만들어내는 시각적 결을 보여준다. 회화는 감정의 표면을, 렌티큘러는 빛의 층을, 한지는 호흡의 결을, 섬유는 시간의 흔적을 말한다. 서로 다른 재료가 각자의 언어로 말하지만, 이들이 한 공간 안에서 만나 직조될 때 감정과 시간이 쌓여 새로운 미학의 층을 만들어낸다.

 

이번 전시를 주관한 김손비야 갤러리몸 대표는 “겹쳐진 층의 미학,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예술의 결 《Woven Layers》展은 다양한 시대적 감각과 예술적 깊이를 엮어내며, 올가을 서울 미술계에 잔잔한 울림을 남길 것”이라고 밝혔다.

 

참여 작가는 하석홍, 윤종석, 모용수, 이돈아, 이상미, 임종엽 등 6인으로, 각자의 재료와 조형 언어를 통해 물질과 감성, 시간과 기억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구한다.

 

참여 작가 및 작품 세계

하석횽 작가 / 갤러리몸 제공
하석홍 작가 / 갤러리몸 제공

하석홍(제주대학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및 대학원 서양화 전공)은 자연과 시간, 그리고 존재의 물질성을 회화적으로 탐구하는 작가로, 제주의 돌과 바람, 바다에서 느껴지는 생명력과 흔적을 화면 위에 직조한다. 하석홍의 작품은 물질의 질감이 지닌 에너지와 그 안에 깃든 시간의 켜를 드러내며,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근원적 주제를 시각화한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제주도립미술관, ICC제주, 제주대학교병원 등 다수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예술의전당, 광주비엔날레 기념 무등현대미술관, 부산비엔날레 Sea Art Festival 등에 초대된 바 있다.

윤종석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윤종석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윤종석(한남대학교 미술교육 학사, 동대학원 미술학과 졸업)은 도시의 구조와 인간의 감정이 교차하는 풍경을 감성적 추상회화로 표현한다. 그의 작업은 반복적 붓질과 색채의 중첩으로 만들어진기억의 결이며, 색층(layer)의 밀도 속에서 시간과 감정의 흔적이 쌓인다

 

서울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롯데뮤지엄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고,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 대전광역시 초대작가상, 롯데화랑 유망작가상 등을 수상했다. 윤종석의 회화는 색채의 겹과 질감을 통해보이지 않는 감정의 층을 드러내는 시각적 서사로 완성된다.

모용수 작가 / 갤러리몸 제공
모용수 작가 / 갤러리몸 제공

모용수(원광대학교 미술대학 및 대학원 졸업)는 60여 회의 개인전과 250여 회의 단체전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사랑을 그리는 작가로, 민화적 상징과 서정적 구상을 결합한 따뜻한 회화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작품 속 호랑이, 인물, , 새 등의 상징은 사랑, 순환, 회복의 의미를 지닌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전북도립미술관, 하나은행본점, 서울삼성의료원 등 다수 기관에 소장되었으며, 구상전 대상, MANIF 우수작가상, 전북미술대전 대상 등을 수상했다. 모용수의 회화는 인간 감정의 본질을빛나는 표면의 겹으로 표현하며, 생명력과 따뜻한 서사를 전한다.

이상미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이상미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이상미(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섬유예술 학사)는 섬유를 통해 감정과 시간, 관계의 결을 직조하는 작가로, 천의 투명도와 직조의 리듬을 활용해감정의 층을 시각화한다. 그녀의 작품은 한 올의 실이 감정의 결이 되어, 기억의 시간 속에 연결되는 인간 내면의 흔적을 표현한다

 

국제 섬유예술제(한가람미술관), 어포더블 아트페어 런던·싱가포르·에든버러 등 국내외 전시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문학·공연예술과 협업하는 다장르 예술가로도 주목받는다. 이상미의 섬유는 인간 감정의 미세한 진동을직조된 층으로 번역한 시적 장치다.

이돈아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이돈아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이돈아(이화여자대학교 시청각교육과(현 교육공학) 졸업,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는 뉴욕 School of Visual Art 및 독일 상뜨 오틸리엔 수도원에서 수학하였으며, 작가는 빛·시간·공간을 매개로 한 미디어 아티스트다. 그녀는레이어된 층(Layered Dimension)’을 주제로 렌티큘러(lenticular) 기법을 활용하여 시점과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는 다층적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 렌티큘러 시리즈는 관람자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굴절을 통해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의 경계를 탐색하며, 감정과 기억의 잔상이 물결처럼 층을 이루는 시각적 경험을 선사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로 미디어캔버스, 오스트리아 비엔나 Weltmuseum, 세종시 도시상징광장 등 국내외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그녀의 작업은 예술과 과학, 감성과 기술이 교차하는빛의 층 위에 새겨진 시간의 예술로 평가받는다.

임종엽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임종엽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임종엽(추계예술대학교 서양화 전공)은 호흡과 감정의 리듬을 주제로 인간 내면의 정서적 흐름을 회화적으로 탐구하는 작가다. 그의 작품은 물감의 중첩과 붓의 반복적 호흡을 통해 감정의 파장이 층(layer)으로 쌓이며 입체적인 공간감을 만들어낸다. 캔버스 위에서 리듬감 있는 붓질은 하나의호흡의 파동으로 남아, 감정이 시각적으로 진동하는 듯한 효과를 낳는다

 

뉴욕 코네티컷대학 UCONN 갤러리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한국예술평론가협회주목할 예술가상’(2018), 중국 국제미술제전 대상(2019) 등을 수상했다. 임종엽의 회화는 평면을 넘어감정의 층위가 입체적으로 숨 쉬는 공간을 만들어내며, 예술적 호흡의 진동이 관람자의 마음에 잔잔한 울림을 남긴다.

 

■ 전시 개요

ㅇ 전시명: Wooven Layers

ㅇ 기간: 20251111() ~ 1130()

ㅇ 참여작가: 하석홍  윤종석, 모용수, 이돈아, 이상미, 임종엽

ㅇ 장소: 갤러리몸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45, 메세나폴리스몰 178)

ㅇ 관람 시간: 24시간 상시 관람 가능

ㅇ 주차: 최대 3시간 30분 지원

ㅇ 주최/주관: 몸그룹(), 갤러리몸

ㅇ 문의: 0507-1385-1686 / gallerymom.com 

 

《Woven Layers》展은 예술의 다양한 결이 하나의 직조된 감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조명한다. 여섯 명의 작가가 각자의 예술 언어로 쌓아 올린 층위의 세계는, 동시대 미술이 지닌 감성적 스펙트럼을 새롭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병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갤러리몸#하석홍작가#윤종석작가#모용수작가#이돈아작가#이상미작가#임종엽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