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시 에세이] 아버지의 의자 _이문자
문학/출판/인문
시 /시조

[시 에세이] 아버지의 의자 _이문자

이문자 시인
입력
[시인 이문자가 보는 세상 2 ] 

아버지의 의자 / 이문자

 

 

하루가 다르게 야위어가시던 아버지는 휠체어를 타고

다니셨다 걸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얼마나 기다리셨을까

아버지에게 의자는 올무였다 육신의 무게로 의지했던 의자는

어느 순간 의자의 무게로 남겨졌다

 

의자의 달콤함과

더 나은 안락을 위해

나를 잊고 정글처럼 살았던 날들

자식의 자리를 위해

당신의 자리를 잃은

아버지 생각을 하면

귓전에 휠체어 끄는 소리 먹먹하다

 

"아버지를 생각을 하면 귓전에 휠체어 끄는 소리 먹먹하다" _ 이문자 [ 이미지: 류우강 기자]

[작가의 말]

 

아버지에게 의자는 올무였다

 

이문자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 가족을 빼놓고, 얘기할 것도 의미도 없을 것이다. 가족은 사랑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한 가정을 이끌어가는 가장으로써, 한평생을 사신 아버지의 무게를 생각하며 이 글을 쓴다.

 

  나에게 아버지란 이름은 참 따뜻하다. 어린 시절 내가 그림에 빠져 있을 때는 담뱃갑을 풀어, 안쪽 흰 부분에 볼펜으로 풍경화를 그려 주셨다. 내가 좀 더 나이가 들어 고등학교 시절, 시가 뭔지도 모르고 시를 쓴다고 끄적일 때, 그런 딸을 생각하며 시를 적어 주셨다. 아버지는 화가도 시인도 아니셨다. 그런 아버지가 더 그리운 계절이다.

 

  나의 아버지는 오랜 투병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셨다. 온 세상이 꽃으로 물든 계절, 5월의 어느 봄날 세상을 떠나셨다. 그 당시 아버지의 의자를 생각하며, 이 시를 썼다.

 

  의자는 권력의 상징이며, 존재 가치를 결정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딛고 일어설 의자와 의탁으로서의 의자이기 때문에, 대상은 끝없이 슬픈 것이다.


이문자 시인 

이문자 시인 

. 시인, 소설가, 화가

. 코리아아트뉴스 문학전문기자, 칼럼니스트

. 뉴스N제주 칼럼니스트

. 씨원뉴스 종로보도본부 본부장

. )한국문인협회 평생교육위원회 사무국장

. 계간문예 작가회 사무차장

. )한국소설가협회, )국제PEN한국본부, 종로미술협회 회원

. 종로문인협회, 한국가곡작사가협회 이사

. 경북일보 시부문 문학상 수상 外

. )한국소설가협회 2024년 신예작가

. 시집 『단단한 안개』 外

. 단편소설 「내미는 손」 外

 [email protected]

#이문자시인#아버지의자#이문자가보는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