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아트뉴스 특별 사설] “예술가 공동체는 왜 상처받고 있는가 – 한국미협 내홍 사태를 바라보며”

한국미술협회(이하 한국미협)는 4만 5천여 명의 회원과 연간 약 100억 원의 예산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미술단체다. 그러나 지금 이 협회는 예술가 공동체의 중심이 아니라,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의 중심으로 추락하고 있다. 우리는 이 사태를 단순한 선거 파행이 아닌, 예술 생태계의 구조적 위기로 규정한다.
작가들이 협회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있다
한국미협 이사장은 공모전 운영, 심사위원 선정, 정부 및 지자체 지원금 배분, 예산 집행, 인사 결정 등 협회의 핵심 기능을 사실상 독점한다. 이사장직은 예술 행정의 중심이 아니라 권력의 정점이 되었고, 그 자리를 둘러싼 경쟁은 예술가들의 축제가 아닌 정치적 투쟁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이처럼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된 구조는 선거를 과열시키고, 협회 운영을 특정 인물의 판단에 의존하게 만든다. 내부 견제 장치는 작동하지 않으며, 감사 기능은 형식적이다. 이사장직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는 동안, 예술가들은 협회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있다.
민주적 절차와 자정 능력을 상실했다
2021년 제25대 이사장 선거는 모바일 투표 방식과 정족수 부족으로 법적 무효 판결을 받았고, 2024년 대법원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이후 예정된 재선거마저 특정 후보의 등록 거부와 가처분 신청으로 무기한 연기되었다. 법원은 “피선거권이 위법하게 제한된 상태에서 선거가 진행되면 공정성과 정당성에 대한 분쟁이 계속될 것”이라며 선거 중단을 명령했다.
이 모든 과정은 협회가 민주적 절차와 자정 능력을 상실했다는 증거다. 선관위는 특정 후보의 출마를 제한했고, 후보 등록일에는 위원장이 부재했다는 증언까지 나왔다.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제도적 신뢰 붕괴다.
끊어지지 않은 갈등과 내홍, 언제까지 이어지나
7월 4일, 일부 이사장 후보들이 협회에 공식적으로 대한민국미술대전 공모전의 즉각적인 중단을 요구했다. 이들은 “선거가 무효로 확정된 상황에서 직무대행 체제가 공모전을 강행하는 것은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하며, “공모전은 협회의 권한이 아니라 예술가 공동체의 신뢰로 운영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요구는 단순한 행정적 반발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신뢰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 해석된다. 공모전이 이사장 권한의 상징처럼 기능하는 현실에서, 그 중단 요구는 권력 구조에 대한 근본적 문제 제기다.
예술가들의 상처를 누가 치유할 것인가
협회는 더 이상 창작과 교류의 공동체가 아니다. 공모전의 공정성에 대한 불신, 특정 계파 중심의 운영, 젊은 작가들의 배제, 세대 단절은 협회를 ‘예술의 집’이 아닌 ‘권력의 성’으로 만들었다. 많은 예술가들은 협회에 기대를 걸었던 마음이 상처로 돌아왔다고 말한다.
K-콘텐츠로 세계를 주름잡는 한국의 문화 예술이 세계를 누비고 있는 현재, 한국 미협 일부 지도자들의 작태를 보면 정말 한심스럽기까지 하다.
AI가 예술의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세상이 미슬 지도자들은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가?
“협회에 기대를 걸었던 후배들이 떠나고 있습니다. 공모전은 불신받고, 선거는 상처만 남깁니다. 이게 우리가 지켜야 할 미술입니까?” 이 한 중견 작가의 말은 지금의 현실을 가장 정확히 설명한다.
한국미협, 이제 그 거울을 닦아야 할 시간이다.
이제는 단순한 인물 교체가 아니라, 제도 자체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코리아아트뉴스는 심층기획 취재 보도를 통해 한국미협이 나아갈 방향에 관한 이슈를 제기해가고자 한다.
예술은 권력이 아니다. 예술은 자유이며, 공동체이며,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다. 한국미협은 이제 그 거울을 닦아야 할 시간이다.
우리는 묻는다. 미술가 공동체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그리고, 그 길을 다시 창작과 자유의 이름으로 되돌릴 수 있는가?
[편집자주: 한국미술협회의 연간 예산이 100억 원에 이른다는 명확한 근거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코리아아트뉴스에서 별도로 보도한다]